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api 아이템 리더
-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
- 스프링 트랜잭션 관리
- aop proxy
- step 값 공유
- stepexecutionlistener
- executioncontext
- abstractpagingitemreader
- JSONObject 분할
- 트랜잭션 분리
- executioncontext 변수 공유
- job parameter
- 읽기 작업과 쓰기 작업 분리
- mybatis
- JSON 분리
- spring batch 5
- 아이템 리더 커스텀
- 스프링 배치 5
- 스프링배치 메타테이블
- Spring Batch
- JSON 분할
- 아이템 리더 페이징 처리
- step 사이 변수 공유
- 마이바티스 트랜잭션
- spring batch 변수 공유
- flatfileitemwriter
- 스프링배치 csv
- 스프링배치 엑셀
- JSONArray 분할
- step 여러개
- Today
- Total
목록KAKAO CHATBOT (30)
ebson
1. 인사이트 개요 인사이트에서는 봇 사용 데이터의 세분화된 측정을 통해 봇에 대한 인사이트를 발견할 수 있음 2. 사용자 사용자 메뉴에서 현재일을 기준으로 설정된 기간 동안 설정된 사용자 세그먼크의 사용자 수를 확인 2.1. 사용자 세그먼트 설정 사용자 수를 조회할 사용자 세그먼트를 설정할 수 있음 성별, 연령대, 방문여부, 웰컴 및 이벤트 수신여부, 블록 호출 등을 기준으로 사용자 집단을 추출함 2.2. 사용자 세그먼트 개요 설정된 모든 사용자 세그먼트의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일별 사용자 수를 그래프에서 확인 2.3. 사용자 세그먼트 상세 설정된 사용자 세그먼트 중에서 특정 사용자 세그먼트의 일별 성별 / 연령대별 / 방문 유형별 사용자 수와 비율을 그래프와 도표에서 확인할 수 있음 참고출처 "도움말-..
1. 통계 개요 제작된 봇의 사용자 활용성을 평가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됨 2. 대시보드 통계에서 제공되는 항목들을 한화면에서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음 2.1. 블록 호출 수 및 기간별 블록 순위 현재 운영중인 봇에 대해 사용자가 많이 찾는 블록(사용자의도) 순위 정보 및 블록 호출 트렌드를 확인함 2.2. 사용자 정보 활성중인 현재 봇에 대해서 전체 사용자 유입 트렌드, 신규 방문자 차지 비중 정보를 확인 2.3. 잔존율 신규방문자들에 대해서 재방문에 대한 정량적 비율 정보를 확인 2.4. 세션 세션의 발생 현황에 대한 트렌드를 확인 세션이란 일정한 기간 내에 발생한 사용자 발화의 집합임 사용자 발화 후 10분 이상 추가 호출이 없으면 하나의 세션이 종료됨 3. 사용자 3.1. 활성사용자 메뉴에서 현재일..
1. 학습 개요 학습이란 봇의 정확성을 높여 잘 답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조도구임 블록에 정의되지 않은 사용자 발화들이 입력되면 정의해둔 블록으로 매칭시켜 봇을 학습시킬 수 있음 2. 학습 대기 어제까지 수집된 데이터 중 설정된 기간동안의 발화 및 빈도가 노출됨 검색 필터를 추가해 단어, 빈도, 길이 별로 목록을 필터링할 수 있음 3. 학습 이력 학습 이력 목록에는 학습대기에서 업데이트한 발화들의 목록이 매칭한 블록명과 함께 발화 업데이트 일시, 학습상태가 표기됨 참고출처 "도움말-챗봇 관리자센터", https://i.kakao.com, 2023년 7월 3일 수정, 2023년 7월 14일 접속, https://i.kakao.com/docs/key-concepts-feedback#학습대기. 챗봇 관리자..
1. 배포 개요 배포란 챗봇 관리자센터에서 봇을 설계 및 저장한 내용을 실제 서비스에 반영하는 기능임 배포가 진행되는 동안은 봇을 편집하거나 저장할 수 없음 배포 메뉴는 읽기 또는 쓰기 권한을 가진 사람에게만 보임 2. 카카오톡 채널 챗봇 배포 배포 메뉴에서 바로 배포가 가능함 1.0 버전에서 시작하여 배포 시마다 0.1씩 올라감 배포 시 배포 상황을 확인할 수 있음 모든 배포 히스토리는 하단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음 참고출처 "도움말-챗봇 관리자센터", https://i.kakao.com, 2023년 7월 3일 수정, 2023년 7월 14일 접속, https://i.kakao.com/docs/key-concepts-deployment#카카오톡-채널-챗봇-배포. 챗봇 관리자센터 개요 · 도움말 - 챗봇 ..
1. 스킬 개요 블록의 출력과 하는 일이 비슷함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고 특정 블록에 종속됨 해당 블록의 발화에 반응해 응답을 돌려줌 블록의 출력만으로 한계가 있는 경우에 스킬을 사용함 2. 스킬의 역할 2.1. 출력 발화에 따하서 출력의 큰 틀이나 많은 요소들이 바뀌는 상황에 통째로 응답을 만들어서 주는 것이 나음 대화의 흐름을 유연하게 제공해야 하는 상황에 스킬의 출력이 유용함 예를 들어, 주문 봇은 주문 끝이라는 발화가 오기 전가지 주문을 진행하면서 사용자가 주문한 메뉴에 따라 메뉴 추천이나 알레르기 경고 등을 중간에 추가할 수 있음 2.2. 데이터 출력의 큰 틀이 바뀌지 않고 구체적인 몇 가지 요소만 바뀌는 상황에 스킬을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음 예를 들어, 활율 출력 봇에서는 시간, 분, 환율..
1. 플러그인 개요 봇 작업자가 되묻기 질문을 설정하거나 원하는 출력을 설정하는 기능 파라미터 설정을 통해서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과 봇 응답형식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으로 나뉘어짐 2. '파라미터 설정' 플러그인 되묻기 질문에서 봇이 필수적으로 받아야하는 파라미터를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고 정확하게 입력하도록 도움 예를 들어, 주소지를 입력받을 때 '정의된 폼' 플러그인 기능을 통해 주소 입력형식을 제공함 3. '봇 응답형식 설정' 플러그인 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카카오톡 채널과 관련된 컨텐츠로 쉽게 연결하도록 도움 예를 들어, 카카오톡 채널에 등록된 쿠폰을 노출시키기 위해 추가 버튼을 통해 '카카로톡 채널 쿠폰' 플러그인을 설정함 3.1. 공유하기 플러그인 플러그인을 눌렀을 때 해당 말풍선을 친..
1. Event API 개요 챗봇이 먼저 대화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 특정 이벤트에 대한 알림, 안내 등의 목적으로 사용 과금 대상이며 메시지 1건당 15원이므로 월렛 생성 및 연결이 선행되어야 함 2. Event API 활용 예시 2.1. 정보성 메시지 예시 시나리오 2.1.1. 결기결과 알림 사용자가 관심있는 경기정보를 발송 2.1.2. 주문 상품 준비 완료 안내 커피 주문 후 제조가 완료되면 안내 2.1.3. 재입고 알림 사용자가 관심있는 상품에 대해 재입고 알림 메시지를 발송 2.2. 광고성 메시지 예시 시나리오 이 경우에는 의무적으로 광고성 메시지임을 표기해야 함 2.2.1. 프로모션 안내 이벤트/특가판매 등 프로모션에 대해서 필요한 시각에 Event API로 광고 메시지를 발송 2...
1. 컨텍스트 개요 봇과 대화에서 문맥적 상황을 공유함 봇 작업자가 블록 안에서 직접 해당 컨텍스트를 정의하고 블록간 연결 및 관리를 수행함 컨텍스트가 잘 정의되어 있다면, 봇은 사용자에게 보다 똑똑하고 매끄러운 대화를 경험하게 함 2. 컨텍스트를 언제 쓰나요? 서로 다른 블록 간 연결고리를 만들 때 사용함 서로 다른 의도를 나타내는 블록들이 하나의 컨텍스트로 묶여서 연결될 수 있음 예를 들어, 컨텍스트를 설정을 통해 블록1의 output이 블록2의 input이 될 수 있음 '커피주문' 이라는 컨텍스트 설정을 통해 '따뜻하게'라는 발화는 따뜻한 음료라고 해석됨 3. 컨텍스트, 이것만 기억해요! 현재 블록의 파라미터 정보는 전달 가능 현재 블록을 실행시킨 사용자의 발화정보는 전달 불가 정보를 받는 블록은 ..